1부 완성.
안녕하세요? 예전에 썼던 환경파일강좌를 지금보니.. 너무 X같이 썼더군요 -_-; 그래서, 개정판(?)을 올리겠습니다. -_-;
환경파일은 왜 쓰나? 대부분의 프로그램의 경우,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하면 이전의 창위치라던가 이전의 환경설정값들이 고대로 적용되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. 특히 환경설정 값의 경우, 매번 실행시 설정할 필요가 없이 이전에 설정한 값이 자동으로 적용이되면, 편리하죠?
이 처럼, 프로그램의 여러 정보를 담거나 하는 파일이 환경파일입니다. 방금 예를 든 것도 환경파일을 사용하는 예중 하나입니다. 물론, 레지스트리라는 것도 사용하지만, 이 강좌에서는 환경파일을 다루겠습니다.
인터뷰_ 기자 : 안녕하세요? 인터뷰씨^^ 환파 : 안녕하세요~ 그런데.. 제 이름을 줄여서 환파라고 부르다니 -_-; 기자 : 어, 죄송합니다. 이름을 다 쓰면 칸이 안맞아서; 환파 : 쳇; 기자 : 일단, 소개등을 부탁드립니다. 환파 : (진지하게!;) 안녕하세요? 제 이름은 환경파일 이라고 합니다. 일단, 저는 컴퓨터관련 분야에서 일을 하며, 컴퓨터 분야에서 하고 있는 역활은.. 프로그램의 기억을 도와줍니다; 기자 : 기억을 도와준다고요? 환파 : 네, 그렇습니다. 저는.. 이전에 프로그램의 설정등이나 창위치 따위의.. 여러 프로그램의 정보를 기억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. 기자 : 음.. 그러면, 특별한 별명이 있으실것 같은데. 환파 : 아, 저는 ini 라는 영어별명도 있어요. 아시다 시피. 제가 세계적으로 유명한지라.. 기자 : 아.. 네네; 그럼, 이만 인터뷰를 마치겠습니다. 끝!
환경파일 그게 뭐냐? 대게 확장자가 ini 인 파일을 말합니다 _-; [물론 다른 확장자여도 상관은 없다면, 관습적으로 ini 파일을 주로 사용합니다.] 이 파일은 대게 메모장같은 텍스트 뷰어에서 볼수있습니다. 환경파일, 프로그램이 나중에 사용하기위해 하드디스크등에 기록하는 파일을 말합니다. [이 내용은 도움말에서 인용한 겁니다.]
환경파일 다루는 것이 도움말에는 있나? 당연히 있으므로, 이 강좌를 쓰는거죠 -_-; 도움말의 [환경파일] 부분에 있습니다.
환경파일을 쓰기위해 알아두고 넘어가자! [※용어이니, 필히익혀두시고 가십시요.]
섹션 : 환경파일에서, 큰 구분을 하는 역활을 합니다. 중괄호인 [와 ]안에 둘러싸여 있죠. 키 : 환경파일에서, 실질적으로 정보를 담고 있는 부분의 이름이라고 할까요? 정보를 읽기위해서 부여되는 이름이라고 하겠습니다. 값 : 환경파일에서, 실질적으로 정보를 담고 있는 부분입니다. 종류로는.. 숫자를 담고있는 것과 문자를 담고있는것, 참과 거짓을 담고있는 것이 있습니다. 이때, 정보를 담고있는 부분은 숫자로 표현되어서 저장됩니다. 좀 더 들어가자면, 참이면 1 이 저장되고, 거짓이면 0 이 저장됩니다.
그렇다면, 실제 환경파일에는 어떻게 저장되는지 볼까요?
 [이와 같은 구조로 저장됩니다. 훨씬 이해가 편하죠?^^..]
환경파일을 사용할때 순서를 알아봅니다.! 1. 환경파일에 내용을 쓸때.
 [보통 이와 같은 순서로 작업하며, 관련명령어는 아래에 있습니다.]
2. 환경파일에 내용을 읽을 때.
 [보통 이와 같은 순서로 작업하며, 관련명령어는 아래에 있습니다.]
환경파일을 사용하기 위한 명령어! ※ 들어가기전 읽어보세요. 1. '환경열어' 명령어를 사용하신후 '실수' 형태의 반환값이 나오게 되는데요. 이것을 잘 보관해주세요. [환경파일 관련 명령어에서 쓰입니다.] 2. 환경파일 관련 명령어중, 섹션을 쓸때에는 [와 ]를 붙이지 않고 씁니다. 즉, 환경파일에는 실제로 [와 ]로 둘러싸여 기록되지만 명령어 사용시에는 [와 ]를 사용하지 않습니다.
※ 환경을 열때 사용하는 명령어. 환경열어("환경파일명"); 반환값으로, 해당 환경파일의 핸들[실수형.]이 나오는데. 이를 잘 보관한다. [그렇지 않을경우, 환경파일을 쓰지도 읽지도 못한다 -_-;] 예) 환경핸들 := 환경열어("C:\MyProgram.ini"); 만일, 환경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환경파일을 만들고, 있는 경우에는 환경파일을 연다. [즉, 자동시스템 -_-;]
※ 환경파일에 내용을 쓸때 사용하는 명령어1 [문자를 쓸때.] 환경문써(핸들, "섹션", "키", "쓸 문자"); 핸들은, '환경열어'시 나온 반환값 핸들을 말하며, 섹션을 쓸때에는, [와 ]를 제외한 상태로 써준다. 예) 환경문써(환경핸들, "문자테스트", "테스트", "입력되었다~"); 위의 예제 결과,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것이다. 
※ 환경파일에 내용을 쓸때 사용하는 명령어2 [숫자를 쓸때.] 환경수써(핸들, "섹션", "키", 쓸숫자); 핸들은, '환경열어'시 나온 반환값 핸들을 말하며, 섹션을 쓸때에는, [와 ]를 제외한 상태로 써준다. 예) 환경수써(환경핸들, "숫자테스트", "숫자다", 12345); 위의 예제 결과,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것이다. 
※ 환경파일에 내용을 쓸때 사용하는 명령어3 [참과 거짓 즉, 진리를 쓸때.] 환경진리써(핸들, "섹션", "키", 진리); 핸들은, '환경열어'시 나온 반환값 핸들을 말하며, 섹션을 쓸때에는, [와 ]를 제외한 상태로 써준다. 예) 환경진리써(환경핸들, "진리테스트", "진리다", 참); 위의 예제 결과,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것이다.  주의) 실제 환경파일에는 참과 거짓이라는 것이 들어가는게 아니라, 숫자로 표현되어서 들어간다. 참의 경우에는 실제로 1이라는 값이 써지며. 거짓의 경우에는 실제로는 0이라는 값이 써진다.
※ 환경파일을 닫을때 쓰는 명령어 환경닫아(핸들); 핸들은, '환경열어'시 나온 반환값 핸들을 말한다. 예) 환경닫아(환경핸들); 주의) 환경파일을 다쓴 후에는 이 명령어로 마무리한다.
환경파일을 사용하기 위한 명령어2! [부가적인 기능을 하는 명령어] ※ 환경파일에 있는 모든섹션들의 목록을 얻고자 할때! 환경섹션읽어(핸들, 문자열: 내용); 핸들은, '환경열어'시 나온 반환값 핸들을 말하며, 내용은, 리스트박스의 내용이라던지, 메모의 내용을 넣어주시면 됩니다. 자세한것은 아래의 예제를 보세요~ [환경파일에 있는 모든섹션들을 알아온다.] 예) 환경섹션읽어(환경핸들, 리스트박스0.내용); 이렇게 하시면 리스트박스에는 환경파일의 섹션이 나오게 됩니다.
※ 환경파일에 있는 특정섹션을 지우고자할때! 환경섹션지워(핸들, "섹션이름"); 핸들은, '환경열어'시 나온 반환값 핸들을 말합니다. 당연히 해당 섹션에 있는 키와값도 지워진다. [주의사항 : 특정섹션에 있는 키와 값이 모두 지워진다.] [유의사항 : 특정섹션에 있는 것만 지우는 것이다. 다른것은 아무런 지장이 없다. 오해 없길.] 해당 섹션이 필요없을 경우 사용하면 될것같다. [아래의 예제에서는 '테스트' 라는 섹션이 지워진다.] 예) 환경섹션지워(환경핸들, "테스트");
※ 환경파일에 있는 특정섹션의 키와 값을 읽고자 할때! 환경섹션키값읽어(핸들, "섹션이름", 문자열: 내용); [환경파일의 특정섹션의 키와값을 알아온다.] 핸들은, '환경열어'시 나온 반환값 핸들을 말하며, 내용은, 리스트박스의 내용이라던지, 메모의 내용을 넣어주시면 됩니다. 자세한것은 아래의 예제를 보세요~ 이 경우, 키=값 의 형태로 알아온다. 예) 환경섹션키값읽어(환경핸들, "테스트", 리스트박스0.내용); 이렇게 하시면 리스트박스에는 특정 섹션의 키와 값이 키=값 형태로 나오게 됩니다.
※ 환경파일에 있는 특정섹션의 키를 읽고자 할때! 환경섹션키읽어(핸들, "섹션이름", 문자열: 내용); [환경파일의 특정섹션의 키만 알아온다.] 이 경우, 키 의 형태로 알아온다. 예) 환경섹션키읽어(환경핸들, "테스트", 리스트박스0.내용); 이렇게 하시면 리스트박스에는 특정 섹션의 키가 나오게됩니다.
※ 환경파일에 있는 특정키를 지우고자 할때! 환경키지워(핸들, "섹션이름", "키이름"); 해당 키가 필요없을 경우 사용하면 될것같다. 이 경우, 당연히 값도 지워진다. [주의사항 : 특정키와 값이 지워진다.] [유의사항 : 특정키에 있는 것만 지우는 것이다. 다른것은 아무런 지장이 없다. 오해 없길.] 예) 환경키지워(환경핸들, "테스트", "우와"); 이렇게 하시면 환경파일의 [테스트]섹션의 '우와'라는 키가 지워집니다. . . .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