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| 아까 올리면서 읽는 것을 안했슴다 -.- 
 
 
 
 여기선 4바이트로 딱! 고정된 정수값을 파일에서 읽는 방법을 따분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-.-
 
 
 
 먼저, 지금까지 접근하던 방법을 소개해보죠 -_-
 
 만약, 파일에 592365 이란 값이 정수로 기록되어 있다! 치고, 그 파일을 hex 편집기로 들여다보면
 보나마나 ED 09 09 00 이렇게 적혀있을 겁니다 -_-;
 
 마찬가지로 파일이진읽어로 4 바이트 읽어도, ED090900 라고 나오겠죠~
 그럼 이 값을 어떻게 정수값으로 확 바꿀 수 있을까요?
 
 또 다시 문득 생각나는 방법으로, 16진수를 10진수로 바꾸는 함수를 만들어서 바꿔봐요~_~
 다소 느리긴 하지만, 어떻게든 만들어서 한번 바꿔보도록 합시다.
 
 만들었다고 치고 -_-
 저 값을 정수로 싹! 바꾸면~
 
 3976792320
 
 어? 뭔가 값이 다르네요? -_-;
 남은 선택은 두 가지 입니다.
 
 하나는 "뭐가 이래! 에이! 창조에선 정수 따위 못 읽나보다! 때려쳐!" 라고 하시고 X 버튼을 누르시거나, 또 하나는 이 재미없는 글을 계속 읽는 것입니다 -_-;
 
 
 
 먼저, 왜 저 모양으로 나오는지부터 알아내야 이 버그를 박살낼 수 있겠지요? ~_~
 이 현상은 인뗄 CPU가 숫자를 메모리에 저장할 때 리틀 엔디언이라는 방법을 써먹는 것이 화의 근원입니다 -_-;
 
 리틀 엔디언이 뭐냐? 아~ 영어 나왔다 -_-
 한 마디로 "거꿀 거꿀 거꾸리" 라는 것입니다.
 뭐, 일단 아시다시피 컴퓨터의 기본 데이터 단위는 바이트라는 것을 알고 계시겠지요?
 그 놈아를 저장할 때 거꾸로 저장한다는 뜻입니다. 메모리의 내용을 고대로 저장하는 파일도 마찬가지로 웬수가 되는겁니다 -_-;
 그러니까, 아까 읽은 ED 09 09 00 란 값은 거꾸로 들어간 값이기 때문에, 뒤자리 부터 끊어서 거꾸로 늘어놔야 한다는 거죠 ~_~
 그럼 00 09 09 ED 가 되겠죠. 이 것을 10진수로 바꿔보면 오오, 592365 라는 원하는 값이 나옵니다.
 
 여기서 잠깐! 왜 리틀 엔디언 따위를 써서 귀찮게 하느냐~고 하실텐데 -_-;
 좋아서 쓰는 겁니다 -_-; 뭐가 좋냐면, 잊어버렸습니다 -_- 여하튼 이렇게 하는게 어떤 점에서 더 속도가 빠릅니다 ~_~
 (모또롤라는 빅 엔디언을 씁니다. 그대로 데이터를 저장합니다.)
 
 
 
 여하튼... 그냥 읽은 값을 바로 10진수로 바꾸면 안되고, 16진수 문자열을 2자리씩 끊어서 거꾸로*-_-* 만든 다음에 바꿔야 뭐가 된다는 뜻이 되버리네요 ~_~
 
 그 얼마나 귀찮습니까? 더구나 이거 되게 느리게 돼버리죠 -_-;;
 
 
 
 
 
 
 자자, 그럼 진짜 하고 싶었던 말을 해봅시다 -_-;
 빠르고 쉽게 읽는 방법입니다!!
 
 파일을 이진으로 읽지 말고, 그냥 문자열로 딱 4 바이트만큼 읽습니다.
 
 시키는대로 했다면, 이리저리 깨져버린 값을 보실 수 있습니다. -_-;
 "이래서야 쓰나!!" 네, 그러면 안되죠. 하지만 그 깨진 문자열도 나름대로 의미가 있습니다!
 
 파일에 저장된 값은 ED090900 이고, 한 문자는 1 바이트씩 차지합니다.
 그래서, 첫 번째 글자는 아스키코드 ED, 두 번째 글자는 09, 세번째 글자도 09, 마지막 글자는 00 이라는 코드를 갖습니다.
 
 자자, 그럼 문자복사로 한 글자씩 빼와서 "문수" 함수를 써보면 어떨까요?
 네, 이 함수는 각 문자의 코드를 알아오는 것이기 때문에, 첫 번째 글자는 16진수로 ED, 즉 237 이란 값이 나오고, 두 번째 세 번째 글자는 9, 마지막 글자는 0 이 나옵니다.
 
 이제, 이 값들을 조립해주기만 하면 됩니다.
 아아, 주의할 것은 이 값들이 거꾸로이기 때문에 ~_~ 조립도 거꾸로!!
 
 공식만 설명드리자면,
 
 첫글자 + 둘째글자*256 + 셋째글자*65536 + 넷째글자*16777216
 
 이렇게 하면 됩니다. -_-;
 무슨 뜻이냐고 물어보시면, 지금으로선 할 말 없습니다 -_-;
 
 여기서 설명하기엔 복잡하니까 나중에 따로 강좌로 설명하겠습니다~ 키키키
 (그 때 설명하겠지만, 저건 실은 곱하기와 더하기가 아닙니다!!)
 
 
 
 자, 이제 읽는 방법을 알았습니다!!
 살짝 정리를 해볼까요-
 
 
 문자:나실은정수야;
 실수:내가진짜정수야;
 
 나실은정수야 := 파일읽어(핸들,4);
 내가진짜정수야 := 문수(문자복사(나실은정수야,1,1))     +
 문수(문자복사(나실은정수야,2,1)*256      +
 문수(문자복사(나실은정수야,3,1))*65536      +
 문수(문자복사(나실은정수야,4,1))*16777216
 
 
 우와~ 복잡해보이네요 -_-; 그렇지만 내용은 보시다시피 단순 노가다입니다 -_-;
 이런건 사용자함수로 만들어두고 쓰는게 좋겠지요 ~_~
 
 
 
 
 아, 그리고 쓰는 방법은 아래에 있지만, 저는 위의 방법을 반대로 적용해서 숫자에서 분해한 다음 "수문" 함수로 문자 조립해서 "파일써" 로 쓰는 방법을 더 좋아합니다 -_-;
 
 이럴 것이 아니라 따로 팁으로 -_-;
 도배 만세!! -_-;;;
 | 
 
 |